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IP 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는 모두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IPv4 주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이다. 이 주소의 범위는 32비트로 .으로 구분하여 0~255 사이의 십진수를 4개 사용한다. 따라서 0.0.0.0 부터 255.255.255.255 까지로 이론적으론 4,294,967,296 개의 IP가 존재한다.
하지만 일부 번호들은 특별한 용도를 위해 예약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가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주소는 IPv4의 주소가 고갈됨에 따라 제정되었다.
IPv4 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기존 32비트 주소의 IPv4에 비해 주소의 길이가 128비트로 늘어나 2^128 즉, 약 3.4x10^38개(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56개)를 사용할 수 있다. 340간2823구6692양938자4634해6337경4607조4317억6821만1456
-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순간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부여받는다. (IPv4는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수동으로 IP 주소를 부여받음)
- IPv6의 점보그램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호스트 사이에는 임의로 큰 크기의 패킷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제한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역폭이 넓은 네트워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Pv4에서 패킷은 64KB로 제한)
- IP 패킷의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고정크기의 단순한 헤더를 사용하는 동시에, 확장헤더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확장 및 옵션 기능의 확장이 용이한 구조로 정의하였다.
- 플로 레이블(Flow Label) 개념을 도입, 특정 트래픽은 별도의 특별한 처리(실시간 통신 등)를 통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 패킷 출처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 보장 기능을 반영하였다. IPv6 확장헤더를 통해 적용할 수 있다.
-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같은 주소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주소는 :으로 구분하며, 범위는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 이다.
0000을 0으로 축약하거나, 연속되는 0의 그룹을 없애고 :만을 남길 수 있다.
2001:0DB8:0000:0000:0000:0000:1428:57ab
2001:0DB8:0000:0000:0000::1428:57ab
2001:0DB8:0:0:0:0:1428:57ab
2001:0DB8:0::0:1428:57ab
2001:0DB8::1428:57ab
위의 주소는 모두 같은 주소이다.
'Computer Engineer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0) | 2016.02.19 |
---|---|
[Network]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 2016.02.18 |
[Network] 캡슐화(Encapsulation) (0) | 2016.02.15 |
[Network] TCP / UDP Port (0) | 2016.02.15 |
[Network] OSI 7 Layer (0) | 2016.02.15 |